맥시마는 내부적으로 미리 정의된 수학 상수들이 있는데 다음 표와 같다.
[표 1] 맥시마의 내부 상수들
| 기호 | 의미 | 
| %e | 자연 상수 (2.718182…) | 
| %pi | 원주율 ( 3.1415…) | 
| %i | 허수 | 
| true, false | 참, 거짓 | 
| %gamma | Euler-Mascheroni constant, 0.577215… | 
| %phi | 황금율 (1+sqrt(5))/2 | 
| _ (언더바) | 직전 입력 | 
| % | 직전 출력 | 
| inf, minf, infinity | +무한대, -무한대, 무한 복소수 | 
| zeroa, zerob | 무한소 (infinitesimal above/below zero) | 
| ind | 부정수 (indefinite number) | 
| und | undefined number | 
이 표에 있는 상수 중에서 %e, %i, %pi는 특히 많이 쓰이니 꼭 숙지해야 하며, 입력할 때 %기호를 빠뜨리기 쉬우니 주의해야 한다.
복소수를 입력하는 것은 허수 %i를 이용한다.
첫 번째는 3i 를 입력한 것이고 두 번째는 복소수 4-5i 를 생성하여 변수 a에 대입하는 것이다. 5와 %i 사이의 곱(*) 기호를 빠뜨리면 안된다.
지수함수 ex를 입력하는데 %e 상수를 이용할수도 있고 exp(x)함수를 이용할 수 도 있다. 두 방법은 동일하다.
어떤 상수의 실수 근사값을 알고 싶다면 float()함수를 이용하거나 ‘, numer’ 명령을 이용한다.
'프로그래밍언어.Lib > 맥시마(maxima)'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맥시마(maxima)의 =기호의 사용법 (0) | 2015.07.28 | 
|---|---|
| 맥시마(maxima)의 식별자, 변수, 대입문 (0) | 2015.07.27 | 
| 맥시마(maxima)의 산술 연산 (0) | 2015.07.17 | 
| 맥시마(maxima) 기본 조작법 (0) | 2015.07.17 | 
| 맥시마(maixma)로 상미분방정식의 해 구하기 (0) | 2015.07.0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