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은 AI 인프라 주권을 둘러싼 ‘실리콘·전력·데이터’ 3박자 경쟁이 격화된 해입니다. 미국과 중국은 반도체, 데이터센터, 네트워크, 전력 생태계를 국가 전략 차원에서 재편하고 있습니다.
핵심 트렌드
- 반도체: 첨단 AI 가속기와 HBM 메모리 수급 확보를 위해 장기 공급 계약과 자체 설계가 확대되었습니다. 미국은 동맹국과의 공급망 블록을 강화하고, 중국은 국산 가속기·EDA 생태계를 육성하고 있습니다.
- 데이터센터: 수십 GW 규모의 하이퍼스케일 데이터센터 파이프라인이 발표되었고, 해저케이블과 백본망 투자가 병행됩니다. 모듈러 데이터센터(MDC)와 수냉식 랙이 표준화되었습니다.
- 전력과 냉각: 원전·재생에너지 PPA, 열 회수, 수냉/침지 냉각 도입으로 전력당 성능(TPUE) 최적화가 진행됩니다.
사례와 의미
- 미국: 빅테크는 전력 확보를 위해 발전사업자와 직접 PPA를 체결하고, 일부는 소형 모듈 원자로(SMR) 파트너십을 추진합니다.
- 중국: 지방정부가 AI컴퓨팅 센터를 전략 산업단지로 지정, 세제·토지·전력 인센티브를 패키지로 제공합니다.
- 한국/유럽: HBM, 패키징, 전력 효율 칩렛 등 특정 축에서 존재감을 확대하며 동맹형 분업이 심화됩니다.
2025년의 결론은 ‘모델 경쟁=인프라 경쟁’입니다. 컴퓨팅, 전력, 데이터 주권을 가진 자가 다음 세대를 주도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