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실수 자료형과 실수 상수 [DOC] [SMTS]
실수형 상수는 0.001, 2.0, 3.14159와 같이 소수점이 있는 수이며 <표2.1.1>에서와 같이 float, double, long double형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실수형은 내부적으로 그 데이터를 저장하는 방식이 정수형과 전혀 다르며 유효 자리수와 오차가 존재할 수 있다.
실수를 표현할 때는 0.1, -2,3 과 같은 보통의 10진 표기법 외에 지수적 표기법이라는 것이 있는데 예를 들면1.234567e5 와 같은 것이다. 이것은 과학적 표기인
를 표현한 것이다. 또 다른 예로 1.234567e-3 은
이다. 실수 상수는 소수점을 반드시 포함해야 하며 지수부는 생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123.5123.0 또는 123.0.123 또는 .123123e2 는 실수 상수가 아니다. (소수점이 없음)123.e2는 실수 상수임. |
실수형 변수를 선언하고 초기화하는 코드의 예는 다음과 같다.
float fa = 3.14159;double da = 314.159e-2, db = 123e-3;long double lda = 10.0;float fb = .001;float fc = 123.; |
실수 자료형은 float형, double형, long double형이 있는데 float형보다 double형의 표현 범위뿐만 아니라 정밀도도 더 높다. (정수형은 예를 들어 short형 보다 long형이 표현 범위만 넓어지는 것과 대조적이다)
실수 상수는 내부적으로 double형으로 저장되므로 8 byte 메모리가 소요된다. 만약 실수 상수를 float 형으로 명시적으로 지정하려면 숫자 뒤에 f/F 접미어를 붙이면 된다.
float fb = 2.34f;float fa = 1.23e-4f; |
하지만 이 경우에도 자동으로 형 변환이 일어나므로 궂이 f/F 접미어를 붙여줄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변수에 숫자상수를 대입할 경우에는 묵시적으로 형변환이 일어나기 때문에 사용자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신경을 쓸 필요가 없다.
'프로그래밍언어.Lib > C,C++'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 논리형(bool형) (0) | 2016.03.28 |
---|---|
2.6 문자 상수 (0) | 2016.03.28 |
2.4 정수 자료형과 정수형 숫자 상수 (0) | 2016.03.28 |
1.9 2진수와 16진수 (0) | 2016.03.07 |
1.8 atom 설치 / 첫 프로그램 실행하기 (2) | 2016.03.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