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CAD에서 스케치에 있는 치수(dimension)에 이름을 붙여서 다른 곳에서 재사용할 수 있다. 치수를 입력하는 창에 숫자값을 입력하는 칸 바로 맡에 이름을 기입하는 곳이 있는데 이곳에 이름을 기입하면 그 숫자값을 다른곳에서도 참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ketch001 이라는 스케치 내에서 어떤 치수에 length 라는 이름을 주었다면 그 치수는 다음과 같은 이른으로 참조할 수 있다.

 

Sketch001.Constraints.length

 

중간에 Constraints 라는 이름을 거쳐야 사용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치수를 입력하는 창에서 숫자 대신 '='키를 누르면 수식편집기 창이 뜨고 거기에 수식을 입력할 수 있다.

 

 

아예 spreadsheet를 하나 생성하고 거기에서 부품에 관련된 치수들에 이름을 붙여서 관리할 수도 있다. workbench에서 spreadsheet를 선택하면 부품에 Spreadsheet를 하나 생성할 수 있다.

 

 

Spreadsheet의 이름을 편의상 Var라고 변경했다. 이후에 한 셀에 11이라는 숫자를 기입하고 그 셀에서 마우스 우클릭을 하면 뜨는 셀 속성 창의 맨 오른쪽 탭인 별칭(A)을 선택하면 아래 그림과 같이 셀의 별칭을 입력할 수 있다.

 

 

이렇게 해 놓으면 이 셀의 수치는 다음과 같이 참조할 수 있고

 

Var.length

 

이 참조는 부품의 치수를 기입하는 어떤 창에서든 사용할 수 있다.

 

이렇게 추후에 변경될 가능성이 높은 치수들을 Spreadsheet로 관리하면 나중에 부품의 변경을 훨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gdoc]

 

Posted by 살레시오

댓글을 달아 주세요

FreeCAD의 스케치는 선분이나 사각형의 중심점을 자동으로 생성해 주지 않는다. (0.18버전 기준) 하지만 대칭구속기능을 이용하면 선분/사각형의 중심점을 쉽게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선분 주위 아무데나 점을 찍는다. 그리고 아래 그림과 같은 순서대로 점들을 선택한다.

 

(1)(2) 선분의 두 끝점을 차례로 선택

(2) (방금 생성한) 선분 밖의 점을 선택

(3) 대칭 구속조건 버튼 클릭

 

 

그러면 다음과 같이 중심점으로 설정된다.

 

 

사각형의 중심점도 비슷하게 생성할 수 있다. 먼저 사각형 내부에 점을 아무데나 찍는다. 이후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점을 선택한 후 구속조건 버튼을 누른다.

 

(1)(2) 사각형의 두 마주보는 꼭지점을 차례로 선택

(3) 방금 찍은 (사각형 내부의) 점을 선택

(4) 대칭구속버튼 클릭

 

 

그러면 아래와 같이 생성한 점이 사각형의 중심점이 된다.

 

 

이후에는 이 중심점을 끌어서 사각형의 위치를 조절할 수도 있다.

 

[gdoc]

 

'3D프린팅 > FreeCAD' 카테고리의 다른 글

FreeCAD에서 숫자값에 변수명 붙여서 참조하기  (0) 2021.03.11
FreeCAD의 마커크기 수정  (0) 2021.03.11
Posted by 살레시오

댓글을 달아 주세요

  FreeCAD의 마커(marker)는 스케치상에 존재하는 특징점을 칭한다. 예를 들면 사각형의 꼭지점, 좌표상의 원점, 원의 중심점 같은 것들이다. 그것의 크기가 초기 설정으로는 너무 작아서 작업하기에 불편하다. 크기를 키우려면 

 

편집>환경설정 메뉴

 

로 들어가서 아래와 같이 Display탭의 Marker size를 조절하면 된다. 13px 이상으로 설정해 놓으면 작업하기 편하다.

 

 

바로 적용이 안 되는 것 같다.(0.18버전) 사이즈를 설정한 후 freecad를 재시작해야 새로운 크기값이 적용된다.

 

[gdoc]

 

Posted by 살레시오

댓글을 달아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