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로 프로그래밍을 하다 보면 눈이 쉽게 피로해지는데 컬러 테마를 어두운색 계열로 바꾸어 놓으면 도움이 된다. 윈파이썬의 경우 spyder를 기본 IDE로 사용하는데 spyder의 Tools > Preferences 메뉴에서 Editor, Console 텝의 옵션을 조정하면 dark theme 를 사용할 수 있다.

먼저 Editor 텝에서 다음 그림과 같이 color scheme 을 변경한다. 이것을 적용하면 프로그램 에디터의 테마가 다크테마를 적용되어 어두운 배경에 밝은 색 폰트로 변경된다.



아래 그림에서는 체크를 해제하여야 console창과 python쉘의 배경이 검은색으로 된다.



만약 ipython쉘을 사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ipython탭에서 설정을 해주어야 한다.



이렇게 설정해 놓으면 눈이 훨씬 편하게 작업할 수 있다.

Posted by 살레시오
,

 인터넷을 사용하다 보면 구글이나 네이버 아이디가 여러 개를 만들어서 쓸 수 있고 가끔 여러 개의 아이디에 동시에 접속하여 사용해야 할 때가 있다. 이러한 경우 가장 간단한 해법은 하나의 웹브라우저를 사용하는 것 보다 다른 웹브라우저를 여러 개 사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서 인터넷익스플로러(IE)로 A라는 계정으로 로그인하고 구글 크롬으로 B라는 아이디로 로그인, 파이어폭스로 C라는 아이디로 로그인하는 것이다. 그러면 각각의 계정으로 로그인된 상태로 동시에 웹서핑을 할 수 있다.


 가장 많이 사용하는 웹브라우저를 순서대로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인터넷 익스플로러(IE)

  • 구글 크롬

  • 파이어 폭스

  • 사파리

  • 오페라 (Opera)


사파리의 경우 맥에서만 쓸 수 있다고 오해하기 쉬운데 윈도우용도 나와 있어서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단 그것의 사용성은 맥에 최적화 되어 있다. (그래서 윈도에서는 잘 안쓰게 된다)


[그림 1] 윈도7에서 사파리를 실행한 모습


 이것들 중 저사양에서도 원할하게 구동되는 브라우저는 IE라고 한다. 크롬이나 파폭은 상대적으로 속도나 메모리 사용량이 높은 편에 속한다.



Posted by 살레시오
,

  자바 식별자는 길이에 제한이 없으며 '_' 뿐만 아니라 '$' 문자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자바에서는 반복문 앞에 라벨을 붙여서 그 라벨을 break, continue 문 뒤에 붙여 중첩된 반복문을 한꺼번에 벗어날 수 있다.


loop1: for(...) {

    for (… ) {

        …

        break loop1; //바깥쪽 루프를 벗어남.

        …

        continue loop1: //바깥쪽 루프의 그 다음 반복을 바로 수행.

    }

}


반복문의 이름이 지정되지 않은 break, continue 문은 그것을 포함하는 가장 안쪽의 반복문을 제어하지만 이처럼 라벨링을 이용하면 그 바깥쪽의 반복문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JAVA5 이상부터는 C#의 foreach 나 파이썬의 for문과 같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문법은 다음과 같다. 


for(자료형 변수명: 집합) {

}


여기서 집합은 배열,콜렉션,enum 등이다. 이렇게 하면 예를 들어 배열의 각 요소가 변수명에 대입되어 차례로 반복문을 수행하게 된다.


enum Week { 월, 화, 수, 목, 금, 토, 일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enum 타입을 foreach 로 출력

    for (Week day : Week.values()) { // Week.values()에는 Week 의 값들이 교대로 들어갑니다.

    System.out.println(day + "요일");

}


// 정수 배열을 foreach 로 출력

int[] num = { 14, 54, 52, 26, 62, 55 };

for (int i : num)

    System.out.println(i);


// 문자열 배열을 foreach 로 출력

String names[] = { "수성", "금성", "지구", "화성" };

for (String s : names)

    System.out.println(s);

}

[#00065]


Posted by 살레시오
,